공예배가 무엇인가요?
공예배는 사적인 예배와 구분되는 용어입니다. 사적인 예배는 일상 속에서 개인이 추구하는 경건활동을 말합니다. 성경읽기, 골방기도, 경건서적 읽기, 개인적인 묵상과 찬송 등입니다. 이와 같은 사적인 예배와는 달리 ‘공예배’는 하나님께서 직접 명하신 예배입니다. 즉, 하나님께서는 사적인 예배를 드리던 모든 성도들을 ‘특별한 날’에 불러 모으십니다.
네가 호렙 산에서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섰던 날에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나에게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내 말을 들려주어 그들이 세상에 사는 날 동안 나를 경외함을 배우게 하며 그자녀에게 가르치게 하리라 하시매 (신4:10).
너는 기억하라 네가 애굽 땅에서 종이 되었더니 네 하나님 여호와가 강한 손과 편 팔로 거기서 너를 인도하여 내었나니 그러므로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명령하여 안식일을 지키라 하느니라(신5:14)
[1] 공예배는 ‘함께’ 드리는 예배입니다. 홀로 나아가는 예배가 아니라 언약의 백성들이 회중으로 나아가는 예배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언약의 후손들은 공예배에 참여해야 합니다. 영아부터 노인까지 ‘언약’에 속한 성도들은 공예배를 드릴 의무가 있습니다.
[2] ‘함께’ 드리는 이 예배에 적절하게 참여해야 합니다. 예컨대, 예배로의 부르심부터 강복선언에 이르는 모든 순서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도 시간에 ‘함께’ 기도하고, 찬양 시간에 ‘함께’ 찬양해야 합니다. 설교 시간이 홀로 다른 일을 해서는 안 됩니다. 모든 회중들이 ‘같은 신앙고백, 같은 마음, 같은 방향, 같은 속도’를 가지고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3] 공예배에 참여할 때, 우리는 세 가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첫째, 예배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은 백성들이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드리고 예배하는 것입니다. ① 그러므로 예배 안에는 삼위 하나님에 대한 명확한 신앙고백이 있어야 합니다. ② 기도와 찬양과 헌상에 감사의 마음을 들고 하나님을 높여야 합니다. ③ 예배는 표현입니다. 경건하고 신중한 옷차림과 자세, 그리고 마음가짐을 준비하여 ‘올바른 질서를 따라’ 하나님께 경배해야 합니다.
[4] 둘째, 예배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교육하기 위한 것입니다. 앞서 보았던 신명기 4:16에서 하나님은 백성들을 불러 모아서 ‘자신의 말씀을 들려주고 배우게 하며 자녀들을 가르치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예배의 모든 순서들은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가르치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부모들은 공예배를 활용하여 자녀들을 가르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5] 셋째, 예배는 교회를 보여줍니다. 처음 교회에 온 사람들은 그 교회의 예배 순서를 보면서 ‘교회가 어떤 곳인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예배의 순서들을 통해 우리가 믿는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보여주고, 우리는 그 하나님께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줘야 합니다. 즉, 예배 자체에 교회의 신학과 신앙고백이 드러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열린 예배, 혹은 구도자 예배가 예배일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신앙의 자리 > 교회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배] 죄의 고백과 용서의 선언은 무엇인가요? (0) | 2022.02.08 |
---|---|
[예배] 예배로 부름 (0) | 2022.02.03 |
[고백] 예배 시간에 낭독되는 신앙 고백 모음 (0) | 2022.02.02 |
[고백] 신앙고백이란 무엇인가요? (0) | 2022.02.02 |
[고백] 사도신경이란 무엇인가요? (0) | 2022.02.02 |